본문 바로가기

Back to Top

과학학습콘텐츠

각 과학주제를 목록이나 연대기 형태로 검색할 수 있고 주제별 이야기도 가득 있습니다.
국립중앙과학관 전문가 및 자문위원분들이 검증해 주신 소중한 자료입니다.

수의 역사

수의 역사

미지수의 발견

상세정보
왜 'X' 인걸까요?
이름
미지수의 발견
분류
수의 표현
연대
17세기
상세정보
내용

  영화 제목인 〈용의자 X〉 , 미국 드라마 〈X파일〉과 같이 밝혀지지 않은 미지의 것을 나타낼 때 흔히 알파벳 ‘X’라는 문자를 사용하곤 하지요.왜 ‘X’인걸까요? 미지의 것을 로 나타내기 시작한 것은 수학의 방정식 때문이에요. 수학에서 미지수를 x로 처음 사용한 사람은 17세기의 수학자 데카르트예요. 데카르트가 누군지 기억이 나지 않는 사람도 “나는 생각한다. 고로 나는 존재한다.”라는 유명한 말은 들어본 적이 있을 거예요. 이 말을 한 사람이 바로 데카르트랍니다.
  초등학교 저학년 때에는 방정식을 풀 때(그게 ‘방정식’이었다는 건 나중에 알게 되지만) 모르는 양은 네모라고 두고 풀죠. 그러니까 “3+??=5일 때, ‘??’는 무엇인가?” 하는 문제 같은 것 말이에요. 그러다가 학년이 조금 올라가면 네모 대신에 x라는 문자를 쓰게 되지요. 이렇게 대수방정식에서 네모 대신에 문자를 사용하는 것을 소개한 사람이 바로 디오판토스라고해요. 수학에서는 숫자를 대신하여 문자를 사용한 것을 ‘대수’라고 해요.
  사람들은 대수를 소개한 디오판토스를 ‘대수학의 아버지’라고 부른답니다. 디오판토스는 《산술(Arithmetica)》이라는 13권의 수학책을 쓴 4세기 무렵의 수학자예요. 그가 남긴 《산술》이라는 책은 유럽에서는 2000년 가까이 교과서로 쓰일 만큼 중요한 책인데요. 17세기 초반에 활약했던 프랑스의 수학자 페르마는 디오판토스의 《산술》을 공부하면서 그 여백에다가 자신의 생각을 이것저것 적어 놓았는데 그중 하나가 바로 그 유명한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랍니다. 디오판토스는 문자와 기호를 사용하여 최초로 방정식을 만들었으며 자신의 묘비에 방정식 문제를 내기도 했어요.
  디오판토스가 언제 태어나서 언제 죽었는지에 대해서는 정확한 기록을 찾기가 힘들어요. 그래도 한 가지 확실한 것은 그가 얼마나 오래 살다가 죽었는가 하는 것이에요. 그것은 바로 그의 묘비명에 그의 일생이 간결하게 요약되어 있기 때문이지요. 그렇다면 그의 묘비를 한번 구경해 볼까요?디오판토스의 묘비명을 보고 디오판토스의 일생을 추측해 볼 수 있어요. 다음과 같은 질문을 가져볼 수도 있겠어요. 여러분들도 함께 풀어보세요.
   1) 디오판토스는 몇 살까지 살았을까요?
   2) 디오판토스는 언제까지 소년이었을까요?
   3) 디오판토스가 수염이 난 것은 몇 살 때일까요?
   4) 디오판토스는 몇 살 때 결혼했을까요?
   5) 디오판토스의 아들은 언제 태어났으며 언제까지 살았을까요?
  디오판토스의 나이를 x라고 하고 식을 세우면 이렇게 되겠네요.
    (x/6)+(x/12)+(x/7)+5+(x/2)+4=x          
  수학 기호는 언제부터 사용되었을까요?
  지금과 같은 수학 기호들을 쓰기 시작한 것은 오래되지 않았어요. +, -, ×, ÷와 같은 수학 기호가 없었을 때는 그냥 말로 ‘더하고, 빼고, 곱하고, 나눈다.’라고 나타낼 수밖에 없었겠지요?
  4세기에 디오판토스가 기호를 처음 사용했지만 지금 우리가 쓰는 수학기호가 만들어진 것은 그보다 훨씬 뒤였답니다. 14세기부터 수학 기호가 본격적으로 만들어지기 시작하여 바뀌거나 고쳐져서 17세기에 지금의 수학 기호로 표준화 되었어요.

 

 + (더하기)

1300년경 이탈리아의 레오나르도 피사노가 처음 사용했어요. 라틴어 et(and와 같은 뜻)을 쓰는 과정에서 ‘+’로 변하여 만들어졌어요.

 - (빼기)

1489년 독일의 비트만이 처음 사용했어요. 라틴어로 모자란다는 뜻의 minus의 m에 ‘-’를 긋고 쓰다가 m을 빼고 ‘-’만 따서 쓴 것이에요.

× (곱하기)

1631년 영국의 윌리엄 오트레드가 십자가를 본 따서 만든 것이에요.

÷ (나누기)

1659년 스위스의 요한 하인리히 랜이 처음 사용했는데, 분수를 표시한 모양에서 따왔다고 해요.

= (등호)

1557년 영국의 레코드가 ‘같다’는 표시로 평행한 두 개의 직선을 길게 그어 나타냈는데, 직선이 점점 짧아져 지금과 같이 되었어요.

>, < (부등호)

영국의 해리어트가 처음 사용했어요.

 


*사진 제목 및 출처
1. 영화 〈용의자 X〉 포스터
2. 데카르트/위키피디아
3. 디오판토스/위키피디아
4. 디오판토스의 묘비
5. 디오판토스의 일생

감수 : 이동흔 교사
안내
  • 상기 내용은 2015년 전문가 감수를 받아 제작된 자료로 최신내용과 상이할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양해바랍니다.
관련링크
관련 과학관 & 사진 자료
  • 등록된 자료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