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학습콘텐츠
각 과학주제를 목록이나 연대기 형태로 검색할 수 있고 주제별 이야기도 가득 있습니다.
국립중앙과학관 전문가 및 자문위원분들이 검증해 주신 소중한 자료입니다.
과학학습콘텐츠
각 과학주제를 목록이나 연대기 형태로 검색할 수 있고 주제별 이야기도 가득 있습니다.
국립중앙과학관 전문가 및 자문위원분들이 검증해 주신 소중한 자료입니다.
내용 |
특징 ◈ 번식기에는 암수가 함께 생활하며, 번식이 끝나면 소수의 무리로 몰려다니거나 다른 종들과 섞여 생활한다.
번식정보 ◈ 낙엽활엽수나 잡목림의 나무구멍 인가의 건물 틈, 전봇대 구멍, 인공소상 등에 동물의 털, 이끼, 마른 풀을 이용해 밥그릇모양의 둥지를 만든다.
구별하기(동정 포인트) ◈ 암컷과 수컷의 생김새는 동일하다. |
---|---|
Plus+ 상식더하기 |
곤줄박이의 먹이 저장습성과 저장된 먹이 찾기
곤줄박이를 포함한 박새과의 종들은 본인의 행동권(home range) 내에 식물의 씨앗이나 땅콩, 무척추동물 등과 같은 먹이를 저장하는 습성이 있다. 이 같은 행동습성은 딱따구리나 동고비, 까마귀 등에서도 종종 관찰되기도 하지요. 곤줄박이와 박새는 한 장소 또는 몇몇 장소 내에 각기 다른 먹이를 저장하는 저장고를 하루에 수백 또는 수천 개나 만들 수 있다. 그러나 이렇게 모은 먹이들을 모두 다 먹는 것은 아니며, 일부 저장먹이는 장기간 남아있기도 해요. 행동학 및 신경 생리학 연구에 따르면, 먹이를 보관한 장소에 대한 기억은 원초적인 방법으로 저장된 먹이를 되찾아오는 과정과 관련이 있다고 해요. 즉 기억을 더듬어 찾는 방법이다. 우리의 뇌에서 기억을 저장하고 상기하는 역할을 하는 해마(hippocampus)가 박새과의 조류에게는 저장된 먹이를 되찾아오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기관인 것이다. 하지만 미처 발견하지 못하고 버려진 먹이는 때로 식물의 번식 및 산림의 영양분이 되어 숲을 키우는데 도움이 되기도 한다.
감수 : 이한수 박사
|
안내 |
|
관련링크 | |
관련 과학관 & 사진 자료 |
|